본문 바로가기
글로벌기업

[갤럭시 스크린리스 워치] 삼성은 왜 이 제품을 아직 안 만들었나?

by mishika 2025. 8. 12.
728x90
반응형

시계는 있지만 ‘화면 없는 시계’는 없다… 건강·피트니스의 마지막 퍼즐 조각?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제품 라인업은 최근 몇 년간 비약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피트니스 밴드, 그리고 올해 등장한 갤럭시 링까지… 하지만 한 가지 공백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바로 ‘화면 없는 갤럭시 손목형 웨어러블’, 일명 스크린리스 갤럭시 워치입니다.
이 제품은 단순한 상상이 아닌, 실제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은 ‘마지막 퍼즐 조각’ 일 수 있습니다.

갤럭시 링이 있지만 ‘손목형’이 필요한 이유

갤럭시 링은 화면 없는 헬스·피트니스 기기로서 이미 시장에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반지 형태라는 특성상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합니다.

  1. 사이즈 문제
    반지는 ‘원 사이즈’가 아니기 때문에, 구매 전에 반드시 측정이 필요합니다. 갤럭시 링의 경우 사이징 키트를 받아서 손가락 치수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선물로 사주기에도 불편합니다.
  2. 가격 대비 크기
    소형화된 첨단 기술은 비싸집니다. 갤럭시 링은 작지만 가격은 상당합니다. 반면, 화면 없는 손목형 밴드는 같은 센서를 탑재하더라도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배터리 용량도 더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커스터마이징 한계
    갤럭시 링은 3가지 색상 외에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반면 손목형 밴드는 스트랩 교체를 통해 디자인과 착용감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스크린리스 갤럭시 워치의 장점

  • 집중력 유지
    화면이 없으니 알림, SNS, 앱 실행 등으로 인한 산만함이 사라집니다.
  • 가격 경쟁력
    동일한 BioActive 센서를 탑재하더라도 갤럭시 워치보다 저렴하게 출시 가능.
  • 배터리 지속 시간
    화면이 없으니 소비 전력이 크게 줄어, 며칠에서 수 주간 사용 가능.
  • 시계 애호가 호환성
    클래식 아날로그 시계를 차고 싶지만 건강 데이터도 기록하고 싶은 사람에게 최적.

단점과 한계

하지만 스크린리스 기기는 갤럭시 워치의 모든 기능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 즉각적인 피드백 불가
    호흡 훈련, 스트레스 측정, 날씨·UV 지수 확인 등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만 가능.
  • 운동 모드 수동 선택 불가
    자동 감지 기능에만 의존해야 함.
  • 통화·메시지 정보 제한
    발신자나 메시지 내용을 손목에서 직접 확인 불가.
  • 환경 데이터 접근 제한
    지도, 웹브라우저, 실시간 위치 공유 기능은 불가능.

소비자 관점에서 본 시장성

만약 삼성전자가 이 제품을 만든다면, 갤럭시 핏 3 이상의 센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갤럭시 링보다 저렴한 가격이 핵심 조건입니다.

  • 가격은 20~30만 원대 이하
  • BioActive 센서 탑재
  • 최소 1주 이상 배터리 지속
  • 스트랩 커스터마이징 가능

이 조건이 충족된다면, 갤럭시 링보다 더 대중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삼성은 시도해야 한다

갤럭시 링은 매력적이지만, 반지 형태의 한계 때문에 ‘니치’한 제품에 머물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화면 없는 손목형 헬스 트래커는 시장 저변을 넓히고, 갤럭시 생태계 안에서 새로운 진입 장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삼성이 스크린리스 갤럭시 워치를 출시한다면, 건강·피트니스 웨어러블 시장에서 애플과 화웨이, 샤오미를 상대로 차별화 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