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오랜 시간 동안 삼성전자의 핵심 생산 기지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1989년부터 시작된 투자는 수십억 달러 규모로 확대되었고, 이제는 글로벌 생산망의 중심지로 떠올랐죠. 하지만 최근 미국의 세금 정책 변화와 삼성 직원들의 불안감이 그늘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의 삼성의 존재감
삼성은 베트남을 대규모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생산 기지로 육성하고자 꾸준히 투자해 왔습니다. 실제로 매년 약 2억 2천만 대의 스마트폰이 생산되며, 이 중 60%가 베트남 공장에서 제조됩니다. 회장 이재용(Jay Y. Lee) 역시 베트남 총리와의 회담에서 "베트남의 성공은 삼성의 성공"이라고 언급하며 장기적 투자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세금 정책이 남긴 그림자
미국은 현재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 칩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세금을 면제하고 있지만, 향후 변동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에 따라 추가적인 세금이 부과될 경우, 삼성은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삼성 내부에서도 생산 조정을 고려하고 있으며, 베트남 생산 라인의 축소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직원들은 고용 안정성에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일부는 "그들이 모든 걸 줄일까 봐 무섭다"는 목소리도 내고 있습니다.
베트남과 미국의 협상, 변수는?
현재 베트남 정부는 미국과 세금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기존 22%에서 28%의 세율을 더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만약 46%까지 인상될 경우 삼성과 베트남 경제 모두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삼성의 전자제품은 미국으로 수출되는 베트남 제품 중 45%를 차지하며, 이는 120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 흑자와 직결됩니다. 결국, 미국과의 협상은 삼성뿐만 아니라 베트남 경제 전체의 명운이 달린 사안이죠.

외부 요인: 전력, 인력, 경쟁국
삼성의 고민은 단지 세금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전력 공급의 불안정성은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 숙련 인력 부족은 임금 상승을 유도하며,
- 인도와 같은 경쟁국은 이 기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현재 삼성은 인도에서의 생산 확대도 고려 중이지만, 인도는 삼성 전체 생산량의 20%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결국 기존 베트남 공장의 중요성은 여전히 크지만, 분산 전략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삼성의 대응 전략과 향후 방향
삼성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세금 인상에 대비해 공급망을 유연하게 재조정하고 있으며, 직원 구조조정 대신 생산 라인의 효율화를 검토 중입니다. 동시에 베트남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죠.
삼성의 입장은 분명합니다. "우리는 유연하게 대응하겠지만,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한다."
베트남은 여전히 삼성에게 매력적인 투자처이며, 양국 간의 상호 의존성은 쉽게 깨지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글로벌 무역 질서가 요동치는 가운데 삼성의 베트남 전략도 끊임없이 조율될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