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사회

삼성전자, 단독 CEO 체제로 전환...한종희 부회장 사망 이후 급변한 경영 구조

by mishika 2025. 3. 26.
반응형

2025년 3월 22일, 삼성전자는 한종희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맞이했습니다. 그는 가족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심장마비로 쓰러져 끝내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 이후 삼성의 경영 체제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중 CEO 체제가 종료되고, 전영현 부회장이 단독 CEO로 임명되며, 삼성전자는 다시 한번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1. 갑작스러운 부회장 사망과 경영 구조 변화

한종희 부회장은 오랫동안 삼성전자의 얼굴이었습니다. 특히 TV 개발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발휘하며, 삼성의 글로벌 TV 리더십을 19년 동안 유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1988년 삼성에 입사한 이후 승진을 거듭하며, 2021년 부회장으로 승진해 DX 부문을 이끌었습니다. 그가 관리한 제품군은 TV, 가전제품, 스마트폰 등 삼성전자의 핵심이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회사 내부에 리더십 공백을 남겼고, 삼성은 이를 빠르게 채워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영현 부회장이 새로운 CEO로 임명되며 단독 체제로 전환되었습니다. 기존의 이중 CEO 체제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며, 이는 삼성의 경영 구조에 있어 큰 변화를 의미합니다.

 

 

2. 전영현 부회장 체제의 시작과 과제

전영현 부회장은 2024년 DS 부문 책임자로 임명된 이후, 삼성의 반도체 전략을 총괄해온 인물입니다. 그 역시 한 부회장, 정현호 부회장과 함께 삼성의 '3인 체제'를 형성하며, 이재용 회장의 신임을 받는 핵심 인물로 평가받아왔습니다. 특히 품질 혁신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기술 품질 강화를 강조해 온 그는, 이제 삼성전자 전체를 책임지는 중책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에게 주어진 첫 번째 과제는 경영 안정화입니다. 한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부재는 내부 조직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빠르게 수습하고 조직을 재정비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3. 삼성전자가 직면한 도전 과제

삼성은 현재 반도체 산업 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SK hynix와의 HBM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삼성은 NVIDIA의 인증을 확보하기 위해 8-layer와 12-layer HBM3E 제품을 준비 중이며, SK hynix는 16-layer HBM3e 샘플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또한, 삼성은 Exynos 2600 생산을 5월부터 시작하고, 차세대 모바일 칩인 Galaxy S26 SoC의 2nm GAA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기술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고객 유치와 산업 내 입지 강화를 위한 전략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4. 경영 전략의 재정립 필요

단독 CEO 체제는 효율성과 책임의 집중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한 사람에게 부담이 과도하게 실릴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삼성은 전영현 CEO 체제 아래에서 경영 전략을 재정비하고, 내부 리더십의 분산과 협업 구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이 변화가 위기가 아닌 기회로 전환되느냐 하는 점입니다. 전영현 CEO의 리더십 아래에서 삼성전자가 다시 한번 세계 무대에서 그 위상을 증명할 수 있을지, 모두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