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텐센트란 무엇인가?
텐센트(Tencent)는 중국을 대표하는 거대 IT 기업으로, 1998년에 설립되어 현재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거대 기술 기업입니다. 처음에는 메신저 서비스 QQ로 시작하여 위챗(WeChat), 텐센트 게임즈(Tencent Games), 클라우드 컴퓨팅, AI, 핀테크, 미디어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거대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텐센트는 단순한 IT 기업이 아니라 중국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영 성격이 강한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중국 공산당의 "국가 안보 및 정보 통제"라는 목표와 맞물려 데이터 검열, 빅데이터 수집, 여론 조작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로 활용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2. 텐센트의 주요 사업과 시장 장악력
텐센트는 다양한 분야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신저 및 SNS
▶ 위챗(WeChat, 微信): 중국 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신저이자 결제, SNS, 쇼핑까지 아우르는 ‘슈퍼앱’
▶ QQ: 중국의 대표적인 PC 메신저 서비스로, 2000년대 초반부터 중국 전역에서 사용됨
(2) 게임 산업
▶ 텐센트 게임즈: 세계 최대의 게임 퍼블리셔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
▶ 주요 자회사 및 지분 보유 기업:
▶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리그 오브 레전드(LoL)》 개발사 100% 소유
▶ 슈퍼셀(Supercell): 《클래시 오브 클랜》, 《브롤스타즈》 개발사 81.4% 지분 보유
▶ 에픽 게임즈(Epic Games): 《포트나이트》 개발사 40% 지분 보유
▶ 블리자드(Blizzard) & 유비소프트(Ubisoft): 주요 지분 투자 및 협력 관계 유지
▶ 크래프톤(배틀그라운드 개발사), 넷마블, NC소프트 등 한국 게임사에도 다수의 지분 투자
(3) 금융 및 핀테크
▶ 위챗페이(WeChat Pay): 알리페이와 함께 중국의 주요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사용자 수 10억 명 이상
▶ 텐페이(Tenpay, 财付通): 중국 내에서 알리페이와 함께 양대 결제 시스템을 구축
(4) 미디어 및 콘텐츠
▶ 텐센트 비디오(Tencent Video): 중국판 넷플릭스라 불리는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 QQ 뮤직, 쿠거우(Kugou), 쿠워(Kuwo): 중국 내 최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보유
▶ 만화 및 웹소설: 중국 웹툰 및 웹소설 시장에서 독점적 위치
(5) 클라우드 및 AI
▶ 텐센트 클라우드: 중국 내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와 함께 1, 2위를 다투는 클라우드 서비스
▶ AI 및 빅데이터: AI 기반 음성 인식, 얼굴 인식, 데이터 분석 기술 보유
3. 텐센트와 중국 정부의 관계
텐센트는 중국 공산당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정부의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 및 정보 검열 시스템을 활용하여 중국 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정부에 제공한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1) 중국 공산당과의 밀착 관계
▶ 텐센트의 CEO 마화텅은 중국 공산당의 핵심 자문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의원으로 활동
▶ 중국 공산당의 "인터넷 검열 및 감시 시스템" 구축에 적극 참여
▶ 위챗 및 QQ를 통한 여론 조작: 중국 내 모든 메시지는 검열 및 감시 대상
(2) 정보 검열과 감시 시스템
▶ 위챗을 통한 검열: 특정 키워드(천안문 사태, 홍콩 민주화 운동, 신장 위구르 인권 탄압 등)에 대한 검색 및 메시지 차단
▶ 위챗 내 해외 사용자 데이터 감시: 중국 외부에서도 위챗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이 검열 대상
▶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중 감시: 공산당이 필요할 경우 텐센트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3) 해외 확장과 보안 우려
▶ 미국, 유럽, 한국 등지에서 텐센트의 데이터 수집 및 보안 위험성을 우려
▶ 2020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위챗 및 틱톡 금지 행정명령 추진
▶ 미국 기업과의 기술 협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면서, 해외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전략
4. 텐센트의 한국 시장 진출과 논란
텐센트는 한국 IT 및 게임 업계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요 게임사 및 미디어 기업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1) 국내 게임 산업 투자
▶ 크래프톤(배틀그라운드 개발사): 텐센트 지분 13.6% 보유
▶ 넷마블: 텐센트 지분 17.6% 보유
▶ NC소프트: 텐센트 지분 6.9% 보유
(2) 국내 미디어 산업 진출
▶ 웹툰 및 웹소설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및 네이버웹툰과 협력
▶ 국내 언론사 및 뉴스 미디어와의 협업을 통한 중국 친화적 여론 형성 의혹
(3) 보안 및 검열 논란
▶ 텐센트가 한국에서 수집한 데이터가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 제기
▶ 한국 내 반중(反中) 정서와 텐센트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 증가
5. 텐센트의 영향력,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텐센트는 단순한 IT 기업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의 디지털 정보 수집 및 검열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게임, 미디어, 클라우드, 핀테크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 정보 보호, 국가 안보, 경제적 주권 문제를 고려할 때, 텐센트의 영향력을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이 텐센트의 보안 및 검열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강화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