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기업

[Netlist 특허 소송 확대] 삼성·마이크론·Avnet까지…기술 분쟁, 어디까지 확산되나?

by mishika 2025. 7. 10.
728x90
반응형

미국 텍사스 동부 지방법원에서 다시 한번 특허 분쟁의 불꽃이 타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주인공은 고성능 메모리 기술을 보유한 Netlist, Inc.. 이 회사는 이미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을 상대로 한 소송으로 잘 알려져 있었지만, 2025년 7월 9일, 새로운 피고 Avnet, Inc.를 추가하며 소송의 범위를 확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Netlist의 전략, 기술적 배경, 주요 특허, 법적 판결, 그리고 한국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까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소송의 확장: 이제는 Avnet까지

Netlist는 기존에 삼성과 마이크론의 HBM(고대역폭 메모리) 제품이 자사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2025년 5월 20일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최근에는 DDR5-DIMM 제품까지 소송 대상으로 포함시켰고, 관련 유통사인 Avnet, Inc.를 새로운 피고로 지정했습니다.

이로써 이번 특허 소송의 대상은 단순 제조사를 넘어 공급망 전반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지적재산권(IP)을 보호하려는 Netlist의 공격적 법적 전략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행보입니다.

 

특허의 핵심: AI·고성능 컴퓨팅을 겨냥한 HBM 및 DDR5 기술

이번 소송에 포함된 특허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허 번호 기술 영역 만료일
US 12.308.087 AI용 HBM 인터페이스 기술 2031년 11월
비공개 번호(2번째 특허) DDR5-DIMM 컨트롤러 관련 기술 2029년 7월
 

Netlist는 자사의 특허 기술이 차세대 데이터센터 및 AI 워크로드에 필수적인 메모리 구조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삼성과 마이크론은 엔비디아, AMD, 인텔 등에 고성능 DRAM을 공급하며 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법적 성과: 이미 8억 달러 넘는 배상 확정

놀라운 사실은, Netlist가 지난 2년간 이미 삼성과 마이크론을 상대로 866백만 달러(한화 약 1조 1,900억 원)에 달하는 배상 판결을 받아냈다는 점입니다. 이 중 마이크론에 대한 4억 45백만 달러는 최근 연방법원에서 ‘고의 침해’로 인정받으며 파장이 더욱 커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특허 수익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Netlist는 기술 기반 중소기업이 글로벌 대기업을 상대로 지적 재산권을 통해 실질적인 보상을 받아낸 대표 사례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Netlist의 현황: 기술력은 있지만 재무는 취약

항목 수치
시가총액 1.89억 달러
현재 주가 0.65달러
목표 주가(애널리스트) 2.00달러
매출 성장률(12개월) 46%
EBITDA -1,480만 달러 (부정적)
 

Netlist는 성장성 있는 기술기업이지만, 재무 상태는 여전히 취약합니다. 최근 1,200만 달러 규모의 직접 배치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으며, 이는 주식 및 옵션 발행을 포함합니다.

 

전략적 이사회 개편

Netlist는 기술 보호와 사업 확장을 위해 이사회를 재편했습니다. Jun S. Cho와 Blake Welcher가 새롭게 이사회에 합류하여, 각각 제품 영업과 지식재산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기술 기반 법적 전략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입니다.


한국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은?

Netlist가 제기한 소송은 단순한 특허 침해 소송이 아닙니다. 이 소송은:

  •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DDR5 및 HBM 공급 안정성에 대한 불확실성
  •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확대
  • 중소 IP 기업의 시장 협상력 증대

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HBM3E 공급 이슈로 이미 엔비디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번 법적 리스크는 또 하나의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Netlist의 특허 소송은 단순히 기술 분쟁을 넘어서, 글로벌 메모리 시장과 한국 반도체 전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입니다. 향후 법원의 판결 결과와 함께, 삼성·마이크론의 대응 전략, 그리고 Netlist의 재무 안정성 확보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