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이후의 세계 질서… 그 이면에 숨겨진 '조작' 의혹
2025년 7월 22일, TEC 뉴스는 충격적인 보도를 내놓았습니다. 세계 경제 포럼(WEF), 즉 다보스 포럼이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긍정적 흐름을 ‘숫자’로 억누르려 했다는 내부 고발이 제기된 것입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보고서 오류가 아닌, 민주주의와 주권 국가의 선택을 왜곡하려 한 ‘엘리트의 개입’이라는 거센 비판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 포럼의 조작 혐의: 단순한 실수인가, 의도된 개입인가?
세계 경제 포럼(WEF)은 매년 세계 각국의 경쟁력을 평가해 순위를 발표합니다. 그러나 최근 드러난 내부 고발에 따르면, 이 순위는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라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수단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클라우스 슈밥, WEF 창립자이자 장기 회장은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순위 상승 가능성을 차단하라고 내부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 그 이유는 브렉시트를 긍정적으로 묘사할 경우, ‘탈 EU’ 흐름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 2017년 발표된 글로벌 경쟁력 보고서에서는 순위 산정 방식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순위가 하락했으며, 이는 내부의 조작 의혹을 더욱 부채질합니다.
내부 조사와 스위스 언론의 폭로
스위스 유력 일간지 SonntagsZeitung은 더 깊은 곳을 들여다보았습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슈밥은 인도의 순위를 인위적으로 높게 유지하도록 지시했으며, 이는 당시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다보스 참석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러한 순위 ‘조작’은 단순한 기업 환경 평가를 넘어 글로벌 외교와 리더십 경쟁에도 영향을 주는 도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국 보수 정치인의 격렬한 반응
영국 정치권은 이번 보도에 대해 ‘격분’ 수준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물 | 발언 요지 |
프리티 패텔 (전 내무장관) | "민주적 선택을 비하하려는 엘리트의 오만한 시도" |
로드 프로스트 (전 브렉시트 협상 대표) | "WEF는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신뢰받는 데이터를 오염시켰다" |
나이젤 파라지 (Reform UK 창당자) | "이건 글로벌리스트 어젠다가 현실이었음을 증명하는 증거" |
리처드 타이스 (Reform UK 리더) | "다보스 맨들은 국민의 선택보다 본인의 세계관을 우선시했다" |
도마에 오른 80만 파운드의 ‘경비’
조사 책임을 맡은 Homburger 법률회사는 슈밥 부부가 제출한 80만 파운드(약 14억 원) 이상의 경비 청구에 대해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WEF 공식 회의나 행사와의 연관성이 불분명한 비용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일부는 사적인 지출로 보이는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슈밥은 이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있으며, WEF 이사회가 조사 예비 결과를 언론에 유출했다며 조직 내 분열 가능성까지 시사했습니다.
‘다보스 맨’에 대한 세계의 불신, 이제 현실로?
이 사건은 단지 하나의 보고서 조작 문제를 넘어서, ‘다보스 맨’이라 불리는 초국가적 엘리트 계층의 존재와 그 영향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합니다.
- ‘다보스 맨’은 국경도 책임도 없는 글로벌 엘리트를 의미하며, 시민들이 뽑은 지도자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 이번 사건은 그러한 비판이 ‘음모론’이 아닌 실체적 우려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초가 되고 있습니다.
<WEF Manipulation Allegations: Timeline and Key Figures (영문)>
마무리: 민주주의와 데이터의 경계선
이번 WEF 조작 의혹은 ‘데이터’라는 도구가 어떻게 정치적 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세계 경제 포럼이 가진 글로벌 영향력을 감안할 때,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이미지 실추에 그치지 않고 세계 질서에 대한 재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의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이 사건은 우리 모두가 ‘누가 숫자를 쓰고, 그 숫자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묻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지금 생각해볼 질문
- 브렉시트 이후 영국 경제는 실제로 하락세였는가, 아니면 조작된 이미지였는가?
- WEF와 같은 초국가 기구는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가?
- ‘데이터 민주주의’란 무엇이며,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