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미지센서3

[삼성·애플 공급망 변화] 소니·BOE 대신 삼성, 아이폰·맥북 핵심 부품 독점 공급한다 삼성과 애플의 관계는 오랜 기간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미묘한 균형 위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양사의 행보를 보면, 이 균형추가 협력 쪽으로 급격히 기울고 있습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와 디스플레이라는 두 핵심 부품에서, 애플이 기존의 주요 파트너였던 일본 소니와 중국 BOE 대신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를 선택한 것입니다. 이는 양사 모두의 전략 변화이자, 글로벌 IT 공급망 지형을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신호입니다.1. 소니 대신 삼성 – 아이폰 카메라의 새 심장애플은 그동안 아이폰 카메라 이미지 센서(CIS)의 대부분을 일본 소니에 의존해 왔습니다. 그러나 미국 《파이낸셜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차세대 아이폰에는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3층 구조(3-layer stacked CIS) 이미지 센.. 2025. 8. 13.
[삼성의 나노프리즘 카메라 기술] 이미지 센서 시장 판도를 바꾸는 전략인가? 이미지 센서, 그리고 삼성의 기술적 도전카메라 기술의 진화는 이제 단순한 화소 수 경쟁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사진 품질이 브랜드 선택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면서 이미지 센서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삼성전자가 ‘나노프리즘’ 기술이 적용된 이미지 센서를 샤오미에 공급하면서,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고 있습니다.ISOCELL JNP 50MP 센서. 이 이름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지금 이 순간 샤오미의 셀카 특화 스마트폰 Civi 5 Pro에서 사용자들의 얼굴을 더 밝고 선명하게 기록하고 있는 핵심 부품입니다. 그런데 이 기술의 중심에는 바로 ‘나노프리즘’이라는 독자적인 광학 구조가 자리하고 있습니다.ISOCELL JNP 50MP 센서, 무엇이 다른가.. 2025. 7. 16.
소니, 차세대 반도체에 1조 엔 투자: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사업의 미래 소니(Sony)가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생산에 1조 엔(약 9조 원)을 투자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는 소니의 반도체 사업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투자로,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인 행보로 해석됩니다. 이번 투자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처리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TSMC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소니는 이미지 센서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잡았지만, 이제 데이터센터용 반도체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한계획을 밝힌 것입니다. 그럼, 이번 투자가 소니의 반도체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향후 2025년 이후 양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차세대 반도.. 2025.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