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기업

[갤럭시 Z 폴드 8] 삼성, 탄소섬유 채택 검토…티타늄 관세 위기, 신소재 전략은?

by mishika 2025. 7. 27.
728x90
반응형

“폴더블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소재 실험이 시작됐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 8에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을 채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는 기존 티타늄의 수입 관세 인상 가능성과 맞물려, 비용과 내구성, 무게를 동시에 고려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2025년 7월 26일, 디지타임스 아시아는 삼성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Z 폴드 8 후면 플레이트 소재로 티타늄과 탄소섬유를 비교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탄소섬유는 가볍고 튼튼한 항공 소재로 알려져 있으며, 스마트폰 산업에서의 적용은 그 자체로도 기술적 도전이다.


탄소섬유, 왜 지금 주목받는가?

탄소섬유는 철보다 5배 강하고 무게는 1/5에 불과하다. 주로 항공기, F1 머신, 위성 등에 사용되며, 지금까지 스마트폰에서는 원가와 공정 복잡도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폴더블폰의 구조적 한계를 고려하면, 이 소재의 장점은 분명하다.

삼성의 갤럭시 Z 폴드 시리즈는 매번 더 가볍고 얇은 디자인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금속 재질로 인한 무게 증가와 힌지부 내구성 문제가 소비자 피드백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되었다. 특히 Z 폴드 7에서는 S펜 슬롯이 제거되고, 내구성 향상을 위한 두꺼운 패널 적용이 이뤄졌지만, 그만큼 무게 증가가 아쉬움으로 남았다.

티타늄? 탄소섬유? 미·중 관세 리스크가 변수로

삼성전자가 2024년 Z 폴드 6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한 티타늄 프레임은 고급화에 성공했지만, 2025년 들어 상황이 달라졌다. 미국이 중국산 티타늄 소재에 대해 고율 관세를 검토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다.

삼성은 베트남과 한국 생산라인을 통해 미국 수출에 대응해 왔지만, 원재료 수급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삼성 내부에서는 티타늄을 유지하되 고가 모델에만 적용하고, 일반 모델에는 탄소섬유를 시범 적용하는 방식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탄소섬유 적용 시 기대 효과

항목 알루미늄 티타늄 탄소섬유(CFRP)
밀도 2.7g/cm³ 4.5g/cm³ 1.6g/cm³
강도 보통 매우 강함 최고
가격 저렴 고가 중고가
내식성 보통 우수 우수
열 전도율 높음 낮음 매우 낮음
 

→ 특히 무게 감소, 내구성 향상, 지문 방지 및 스크래치 저항성에서 탄소섬유는 유리한 특성을 보인다.

갤럭시 Z 폴드 8의 전략 방향은?

삼성은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 Z 폴드 8에 대대적인 혁신을 준비 중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두께 11mm 이하, 무게 230g 이하 목표
  • S펜 지원 여부 재검토 중
  • 새로운 UTG 패널과 내부 힌지 설계 변경
  • 엑시노스 2600 또는 스냅드래곤 8 Gen 4 탑재 가능성
  • OpenAI 기반 Galaxy AI 2.0 기능 통합

탄소섬유는 이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

소비자 반응은?

레딧, 네이버 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탄소섬유 채택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다수다. “내구성이 늘어나고 가벼워진다면 가격 상승도 이해 가능”이라는 반응이 있는 반면, “탄소섬유 특유의 질감과 색상이 고급스러움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경쟁사 대비 삼성의 선택

중국의 오포와 화웨이는 이미 일부 모델에 세라믹과 마그네슘 합금을 적용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애플 역시 아이폰 15 프로부터 티타늄 프레임을 적용한 바 있으며, 2026년 접이식 아이폰에서는 코발트 강화 알루미늄이 거론되고 있다.

결국 삼성의 소재 전략은 단순한 원가 절감이 아닌, 디자인 완성도, 내구성, 무게 밸런스를 모두 고려한 종합 기술의 집약체로 볼 수 있다.


마무리하며: 소재가 곧 경쟁력이다

2026년의 스마트폰 시장은 단순히 스펙 경쟁이 아닌 '경량성 + 내구성 + 친환경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의 탄소섬유 채택 여부는 단지 소재의 변화가 아니라, 스마트폰 산업 전체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사건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