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기업

[삼성 오디오 제국] – 21개 브랜드 인수로 어디까지 확장할까?

by mishika 2025. 9. 27.
반응형

삼성이 드디어 오디오 산업에서 거대한 제국을 세웠습니다. TV, 스마트폰, 반도체에서 이미 글로벌 최강자로 자리 잡은 삼성전자가 이제는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를 무더기로 품에 안으면서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것입니다. 하만(Harman)을 통해 사운드 유나이티드(Sound United)까지 흡수한 결과, 삼성의 오디오 브랜드 포트폴리오는 무려 21개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숫자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하이엔드 오디오부터 프로페셔널 음향, 차량용 오디오까지 아우르는 풀라인업을 확보한 것이 핵심입니다.

1. 삼성·하만·사운드 유나이티드: 3단 합병 구조 완성

삼성의 오디오 인수 전략은 우연이 아닙니다. 2016년, 삼성전자는 약 80억 달러에 하만을 전격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오디오·전장 산업에 진입했습니다. 당시 업계는 ‘스마트폰 제조사가 왜 갑자기 오디오 업체를 사들였을까?’라는 의문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 삼성의 전략은 명확해졌습니다.

  • 1단계: 하만 인수(2016)
    삼성은 JBL, AKG, 하만카돈, 마크 레빈슨 등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브랜드를 확보했습니다. 이 브랜드들은 차량용 오디오와 모바일 음향기기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죠.
  • 2단계: 사운드 유나이티드 인수(2025)
    사운드 유나이티드는 데논(Denon), 마란츠(Marantz), 바워스 앤 윌킨스(Bowers & Wilkins), 폴크 오디오(Polk) 등 오디오 마니아들에게 ‘끝판왕’으로 불리는 브랜드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이 인수를 통해 삼성은 하이엔드 홈시네마와 레퍼런스급 오디오 시장까지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 3단계: 통합 포트폴리오 구축
    최종적으로 삼성은 총 21개의 글로벌 오디오 브랜드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는 애플, 소니, 파나소닉 등 경쟁사와 비교해도 압도적인 규모입니다.

2. 왜 오디오인가? – 삼성의 인수 배경

삼성이 오디오 시장에 집착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① 제품 생태계 강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 웨어러블 등 삼성의 모든 기기에 고품질 오디오가 결합됩니다. 갤럭시 버즈에는 AKG의 튜닝이 적용되고, 삼성 TV에는 JBL과 B&W의 사운드 기술이 들어가면서 삼성 기기 = 최고의 소리 경험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갑니다.

② 차량용 오디오 + 전장 산업 시너지

하만은 이미 BMW,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제네시스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와 긴밀한 협력을 맺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기차 시장이 확대될수록 차량 내 오디오·인포테인먼트는 ‘제2의 거실’로 불릴 만큼 중요해집니다. 삼성은 여기에 하만과 사운드 유나이티드의 기술을 접목해 차량용 음향의 최강자로 도약하려는 것입니다.

③ 프리미엄 브랜드 가치 상승

데논, 마란츠, 바워스 앤 윌킨스 같은 브랜드는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성역’처럼 여겨집니다. 삼성이 이 브랜드들을 보유한다는 사실 자체가 프리미엄 이미지 강화로 직결됩니다.

3. 삼성 오디오 제국의 브랜드 맵 (총 21개)

계열사 브랜드
하만(Harman) JBL, AKG, 하만카돈, 인피니토(Infinity), 렉시콘(Lexicon),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마틴(Martin), 레벨(Revel), 크라운(Crown), DBX, 사운드크래프트(Soundcraft)
사운드 유나이티드(Sound United) 데논(Denon), 마란츠(Marantz), 바워스 앤 윌킨스(B&W), 폴크 오디오(Polk Audio), 디피니티브 테크놀로지(Definitive Technology), 클래스(Classé), 보스턴 어쿠스틱스(Boston Acoustics), HEOS

21개의 브랜드는 홈 오디오, 차량용 오디오, 프로페셔널 음향을 모두 아우르며, 사실상 오디오 산업 전체를 포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4. 시장 파급 효과: 생활 속 ‘소리의 삼성화’

삼성이 이번 인수를 통해 얻는 효과는 단순히 브랜드 확대가 아닙니다.

  • 소비자 가전 분야: 삼성 TV와 JBL 사운드바의 결합으로, 홈시네마 시장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B&W의 프리미엄 오디오 기술이 적용되면, 삼성 TV는 단순한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극장급 엔터테인먼트 허브가 됩니다.
  • 모바일 기기: 갤럭시 버즈, 갤럭시 북 등에 AKG와 마란츠 기술이 적용되면서 음질 경쟁에서 애플의 에어팟을 압도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하만카돈과 마크 레빈슨 시스템은 이미 벤츠와 렉서스 차량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전기차·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삼성 오디오 + 전장 시스템 패키지로 시장을 선도할 수 있습니다.
  • 프로 오디오: 공연장, 스튜디오 장비까지 아우르며, B2B 시장에서도 막강한 존재감을 확보합니다.

5. 삼성 오디오 전략의 미래

삼성은 단순히 오디오 브랜드를 많이 모으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그들의 진짜 전략은 완전한 오디오 생태계 구축에 있습니다.

  • 애플은 에어팟과 홈팟을 통해 폐쇄적 오디오 경험을 제공하지만, 삼성은 21개 브랜드를 바탕으로 개방적이고 다층적인 오디오 경험을 제공합니다.
  • 전장 산업과 AI를 접목해, 차량 내 오디오를 단순한 음악 재생이 아니라 운전자 보조, 음성 비서, 몰입형 사운드 경험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 TV, 냉장고, 스마트홈 기기까지 오디오 기술을 융합하여, 소비자의 생활 전반을 삼성의 소리로 채워갈 가능성이 큽니다.

즉, 삼성은 단순히 “전자제품 회사”에서 벗어나 “소리를 디자인하는 회사”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