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사회

삼성의 차세대 프로세서, Exynos 2600? 코드명 ‘Ulysses’로 본 변화의 신호

by mishika 2025. 4. 2.
반응형

삼성이 준비 중인 차세대 프로세서에 대한 루머가 다시 한번 뜨겁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중심에는 바로 Exynos 2600, 혹은 이 이름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Exynos 2500의 후속 모델로 알려진 이 칩은, 그 이름조차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코드명 ‘Ulysses(율리시스)’라는 흥미로운 암호명이 등장하면서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건 이름이 아니라 ‘내용물’입니다. 삼성은 2나노미터(nm) 공정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고, 동시에 퀄컴과의 복잡한 경쟁 관계 속에서 자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름이 바뀔까? Exynos 2600에서 새로운 브랜드로

이번 루머의 시발점은 Twitter 사용자 @Vhsss_God의 언급입니다. 그는 삼성의 차세대 칩이 Exynos 2600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여러 전문가들은 해당 계정의 정보 신뢰성에 회의적이며, 아직까지는 공식적인 발표가 없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삼성은 Exynos 2500 개발에 한창이며, 이 칩은 2025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잇는 차세대 칩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며, 지금 시점에서의 이름 변경 논의는 다소 이른 감이 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삼성의 GAA 기반 2-nm 프로세서, 코드명 ‘Ulysses’

Exynos 2600(혹은 Ulysses)은 삼성의 2nm GAA(Gate-All-Around)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될 예정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 FinFET보다 더 정밀하고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삼성은 생산 성공률이 약 30%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이는 GAA 공정 자체가 아직까지 완벽하게 안정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대량 생산은 오는 5월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전까지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퀄컴과의 복잡한 공존: 의존도 줄이기 전략

삼성은 자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에서 여전히 퀄컴의 Snapdragon 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적 안정성과 성능 측면에서의 선택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전략적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퀄컴은 최신 모델인 Snapdragon 8 Elite Gen 2를 삼성 파운드리가 아닌 TSMC에 전량 위탁한 상황입니다.

이는 퀄컴조차 삼성의 파운드리 기술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삼성은 Exynos 라인업을 통해 점진적으로 자체 칩의 비중을 높이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2nm 기반의 차세대 칩이 그 분수령이 될 수 있습니다.


시장 반응과 전문가 분석

대다수 전문가들은 현재의 소문들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Exynos 2600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바뀐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른 시점이며, 제품이 실질적으로 공개되고 나서야 확실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소비자들 역시 점점 더 스마트해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스펙이 높은 칩보다는 전력 효율성, 발열, 실사용 성능 등에 대한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지금은 공식 발표 이전에 섣부른 기대를 걸기보다는 삼성의 향후 대응을 주시하는 분위기입니다.


결론: 이름보다 중요한 건 완성도

‘Exynos 2600’이라는 이름이 남을지, ‘Ulysses’라는 새로운 브랜드가 등장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삼성은 기술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2nm, GAA, 그리고 자립적인 칩 생산 체계는 단지 기술 트렌드가 아니라 삼성의 미래를 결정짓는 전략적 도구입니다.

2025년 하반기 이후, 우리는 이 칩이 진짜로 어떤 이름을 달고 나오는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칩이 얼마나 뛰어난 완성도로 시장에 나올 수 있느냐입니다. 이름은 바뀔 수 있어도, 기술의 진정성은 바뀔 수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