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98

삼성 메모리 베테랑 짐 엘리엇의 이탈, 산디스크는 어떤 전략을 품었나? 삼성전자의 북미 메모리 부문을 오랜 기간 이끌며 업계 내 입지를 다져온 짐 엘리엇(Jim Elliott) 부사장이 산디스크(SanDisk)로 이직했다는 소식이 국내외 업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인사이동을 넘어, AI 반도체 경쟁과 고성능 저장장치 시장 재편의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1. 짐 엘리엇, 삼성의 '북미 메모리 전략가'의 이탈엘리엇은 2001년 삼성에 입사해 20년 넘게 북미 시장에서 삼성 메모리의 리더십을 구축한 핵심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디바이스 솔루션 아메리카(DSA) 부문 부사장으로서 반도체 및 디바이스 영업 전략, 고객 관계 관리, 품질 보증 등 다양한 분야를 총괄하며 삼성의 기술적 우위를 대외적으로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Flash Memory Summit, .. 2025. 6. 6.
[유럽연합 모바일 규제] 5년 업데이트 의무화? 삼성은 웃고, 샤오미는 울다 2023년 6월 20일, 유럽연합(EU)은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규제를 시행했습니다.이제 모든 스마트폰 제조사는 최소 5년 이상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부품 지원을 제공해야 하며,소비자들은 에너지 효율·배터리 수명·수리 용이성까지 명시된 라벨링을 통해 제품을 평가할 수 있게 됩니다. 1. 핵심 규정 요약: 스마트폰도 이젠 '의무 보장'EU의 새로운 규정은 단순한 권고가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핵심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항목주요 내용소프트웨어 지원 기간최소 5년 이상부품 공급 요건판매 종료 후 7년간 필수 부품 제공수리 가능성부품 접근성 및 IP 등급 등급 표기 의무화에너지 라벨링 도입에너지 효율, 배터리 수명, 수리 용이성 등 표시 즉, 더 이상 “싼 맛에.. 2025. 6. 6.
[현대자동차] 자율주행 수소트럭으로 미국 도로를 바꾸다? 2025년 6월,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린 고급 청정 운송 박람회(Advanced Clean Transportation Expo)에서 놀라운 미래 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바로 현대자동차와 Plus(플러스)가 공동으로 선보인 자율주행 수소트럭 충전 생태계 구축 전략입니다.현대의 수소전기트럭 XCIENT와 플러스의 자율주행 솔루션 SuperDrive™가 만나, 미국 전역에 새로운 장거리 친환경 물류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 되었습니다.1. 자율주행과 수소연료의 만남: XCIENT + SuperDrive™현대자동차는 수소전기 상용차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서, 플러스(Plus)의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해 '완전 무공해 + 무인 주행'이라는 차세대 물류 시스템을 시연했습니다.플러스의 CEO 데이비.. 2025. 6. 6.
[Ocean 2000 잠수함] 한화오션의 중형 잠수함, 세계 시장을 겨냥하다 1. 서론: 전략적 전환점에 선 한화오션한화오션은 기존의 대형 전략 잠수함 중심에서 벗어나, 중형급 수출형 잠수함인 Ocean 2000을 선보이며 글로벌 방산 시장에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라틴아메리카, 유럽, 동남아시아, 중동 등 다양한 국가의 해군이 요구하는 민첩하고 유연한 해양 전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입니다.2. Ocean 2000의 설계 철학: 다기능성과 유연성Ocean 2000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기능 전투 플랫폼입니다. 8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통해 중량 어뢰, 수상 목표를 타격하는 미사일, 해양 기뢰 등 다양한 무기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지역의 임무와 위협에 맞춰 조정이 가능합니다.3. 전력 시스템 및 성능: 장기 작전 능.. 2025. 6. 5.
[갤럭시 S25 엣지] 초슬림 디자인의 귀환, 혁신인가 회귀인가? 1. 서론: 다시 얇아지는 스마트폰, 2025년의 반전2025년, 스마트폰 시장은 또 한 번 흥미로운 반전을 맞이했습니다.과거의 “누가 더 얇은가” 경쟁은 배터리 수명과 카메라 성능에 밀려 잠시 사라졌지만, 이제 다시 그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바로 삼성 갤럭시 S25 엣지가 있습니다.삼성은 이번에도 기술적 도약과 감성적 디자인을 동시에 겨냥하며, 다시 한번 "얇고 예쁜 스마트폰"이라는 트렌드를 되살리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이 전략이 소비자의 마음까지 사로잡을 수 있을까요?2. 스마트폰 산업의 변화: ‘얇음’은 여전히 강력한 무기인가?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봅시다.10년 전만 해도 삼성전자와 애플은 누가 더 얇은 스마트폰을 만들 수 있는가를 놓고 경쟁을 벌였습니다. 그러나 배터리.. 2025. 6. 5.
[삼성의 디자인 변경 전략] DRAM 개발 순서를 깨뜨린 파격 전략의 실체는? 삼성이 반도체 시장에서 다시 한번 정공법이 아닌 창의적 우회로를 택했습니다.바로 '디자인 변경 전략'을 통해 DRAM 개발의 전통적 순서를 뒤엎고, 1c DRAM의 상업화를 빠르게 실현하려는 움직임입니다.그 중심에는 평택 제4단지, 화성 공장, 그리고 HBM4 연계가 있습니다.이번 블로그에서는 삼성의 DRAM 전략이 어떻게 기존 산업 흐름을 흔들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시장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를 짚어보겠습니다.1. 삼성의 ‘디자인 변경 전략’, 그게 뭔가요?삼성은 기존의 DRAM 개발 순서인 DDR → LPDDR → GDDR의 흐름을 거부하고, 1c DRAM을 중심으로 DDR과 LPDDR을 동시에 개발하는 파격적인 전략을 선택했습니다.이 전략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개발 속도 단축시.. 2025. 6. 5.
반응형